
스프링부트는 여러가지의 starter 패키지들을 가지고 있다.

1. Spring Web
- 톰캣을 설치하고 그 서버에 우리가 만든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수 있도록 특정 위치에 위치 시키는 것으로 배포&사용 가능
- 톰캣이라는 서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web.xml에 설정들을 기록을하고 톰캣서버가 처음 가동이 될 때 톰켓이 web.xml을 읽음.
- 즉, 서버를 구성하고 그 서버에 우리의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구조
2. SpringBoot
- 스프링부트는 위의 방식과 아예 다름.
- 만들고자하는 웹애플리케이션 내에 톰켓이 등록되어있음. 자동적으로 톰캣이 올라감.
- 별도 톰켓 설정 필요X. -> 배포, 사용 가능

- SpringBoot의 여러가지 설정들은 자동적으로 설정됨. ex) DB설정
- Spring Web MVC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pring-boot-starter-web 디펜던시를 추가하면 된다.
- Spring Boot Actuator 는 나중에 쓸 거지만 메모리 사용량 등등을 모니터일 할 수 있게 해준다.
- @SpringBootApplication = @Configuration + @EnableAutoConfiguration + @ComponentScan
스프링부트에서 추가된 중요한 어노테이션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#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만들어보기

패키지에 @SpringBootApplication 을 붙인 시작점을 만들어준다. 이 때 SpringApplication.run(HelloApplication.class, args); 은 해당 클래스를 실행해준다.

@RestController 를 붙인다. ( 나중에 배운다. )
@GetMapping("/hello") 을 이용해 localhost:8080/hello 와 매핑 시킨다. Get 요청 시 String인 "Hello Spring Boot~~" 가 출력된다.

본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.
꾸준히 다시보자.
1. 220730
2. 220812
3. 220915
'Java, Spring > Spring5 기초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-1강 웹 아키텍처의 이해 (0) | 2022.07.26 |
---|---|
3-3강 REST API의 이해 (0) | 2022.07.26 |
2-11강 Spring IoC 이해하기 (매우중요) (0) | 2022.07.25 |
2-9강 MemberServiceLogic 구현 (0) | 2022.07.25 |
2-8강 구현- MemberMapStore 구현 (0) | 2022.07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