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부트는 내장된 서버를 가져 독립실행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다.
빌드도구의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다.
1. 스프링만 사용 시
- 웹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기 위한 서버 설정을 해야함 ( 톰켓의 경우 web.xml설정이거나 dispatcherservlet설정 등등 )
- 라이브러리에 대한 의존성 관리를 직접해야함. 배포 관련 설정도 직접.
2. 스프링부트 적용 시
- 일단 파일 확장자가 .jar (war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지 않아도 일반 자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빌드배포 가능)
- 톰켓이 내장되어있음. ( 톰켓설정을 따로 web.xml에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. 만약 포트번호 바꾸고 싶으면 Application.yml 이나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에 지정해 줄 수 있다. )
- 기본적인 라이브러리에 대한 의존성을 자동추가 해줌.
starter :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자동으로 포함시킴.
@EnableAutoConfiguration : ex) JPA Starter(spring-boot-starter-data-jpa)를 종속성에 추가하면 JPA와 관련된 설정을 자동으로 시도합니다.
'Java, Spring > SpringBoot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-5강 RESTful Web Services 구현(3) (0) | 2022.07.30 |
---|---|
2-4강 RESTful Web Services 구현(2) (0) | 2022.07.30 |
2-2강 RESTful API Naming (0) | 2022.07.30 |
2-1강 RESTful Web Services의 이해 (0) | 2022.07.30 |
1-3강 Spring Boot Auto Configuration (0) | 2022.07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