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만 쓰지 않음 -> 스프링부트를 통해서 사용.
스프링부트는 기본으로 무조건 사용함.
- 예전에는 스프링을 쓰면 빌드를 하고 톰켓서버를 별도를 설치하여 빌드된 걸 넣고 띄우고 복잡했다.
- 근데 지금은 스프링부트가 빌드하고 서버에 자동으로 띄워줌.
- starter만 쓰면 연관있는 라이브러리를 다 땡겨줌. ( 예전엔 필요한 라이브러리 하나하나 다 땡김 )
- 과거에는 3rd 파티 라이브러리 버전을 다 따져서 구성했어야했지만 지금은 자동으로 구성해줌.
- 모니터링에 필요한 메트릭 등을 기본적으로 제공
스프링부트는 스프링과 별도로 사용불가.
그래도 스프링의 최고 핵심은 IoC/DI
이건 핵심이 아니라 결과물일뿐
스프링은 객체 지향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만들 수 있게 한 프레임워크
( EJB는 상속관계가 지저분하고 EJB에 의존적으로 개발해야했으므로 객체지향이 가진 장점을 다 잃어버림 -> 그래서 순수한 객체지향, 순수한 자바로 돌아가자!! 하는 POJO 도 나왔다. )
# 인프런 김영한님의 강의를 수강한 후 작성한 글입니다.
'Java, Spring >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-2.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설계 (0) | 2022.08.05 |
---|---|
2-1. 프로젝트 생성 (0) | 2022.08.05 |
1-4.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(0) | 2022.08.05 |
1-3.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(SOLID) (0) | 2022.08.05 |
1-2.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? (0) | 2022.08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