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단 메모리회원저장소로 만들어서 개발하기로 함. ( 개발용 ) 나중에 DB나 외부 시스템으로 연동
요구사항을보고 <회원 도메인 협력 관계> 를 생각할 수 있어야함.
기획자도 볼 수 있게 그려야함.
밑의 두가지 다이어그램은 이를 구체화 해서 그린 것
<회원 클래스 다이어그램> 은 실제 구현 레벨 ( 클래스 다이어그램 ).
( MemoryMemberRepository를 넣을지 DbMemberRepository 를 넣을 지는 동적으로 결정됨 ) 그래서 뭐가 들어갈 지는 클래스 다이어그램만으로 알긴 어려움. )
==> 그래서 객체 다이어그램
< 회원 객체 다이어그램 > ( 이건 객체 다이어그램 )
( 정확히 회원 서비스는 MemberServiceImpl ) 당연함. ㅋㅋ
실제 사용되는 인스턴스들 끼리의 참조라 생각. ( 실제 new한 객체를 알 수 있음. )
# 인프런 김영한님의 강의를 수강한 후 작성한 글입니다.
'Java, Spring >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-5. 회원 도메인 실행과 테스트 (0) | 2022.08.05 |
---|---|
2-4. 회원 도메인 개발 (0) | 2022.08.05 |
2-2.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설계 (0) | 2022.08.05 |
2-1. 프로젝트 생성 (0) | 2022.08.05 |
1-4.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(0) | 2022.08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