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pplication.yml이 더 많이 쓰인다.
DispatcherServlet :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해주는 게이트웨이
DispatcherServletAutoConfiguration : DispatchServlet을 관리하기 위한 설정
HttpMessageConvertersAutoConfiguration : 요청을 처리한 후 클라이언트에게 결과값을 반환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HttpMessageConverter의 설정 파일 ( 기본적으로 JSON으로 변환시켜 반환 )
# DispatcherServlet
@RestController : 페이지를 가지지 않는 컨트롤러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2.1 User 도메인 클래스 생성
인텔리제이에서 패키지 바꿀때 위에 바꾸고 alt+enter -> move to package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3.4 HTTP Status Code 제어
Location 헤더에 생성된 URI 가 응답된다.
원래 사용자 상세보기 API를 호출하기 위해선 사용자 Id값을 알고 URI에 포함시켜 요청보내야 하지만
생성하려고 하는 사용자의 ID값은 서버측에서 자동생성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측에서 알 수 없다.
-> 클라이언트는 지금 생성된 사용자의 id값을 알기 위해서는 서버에 또 한번 물어봐야함.
-> 하지만 POST메서드의 응답으로 생성된 사용자의 id값을 리턴받으면 그만큼 네트워크 트래픽감소!!
-> RESTapi : 성공코드값을 다양하게 써라 ( 다 POST로 하고 다 200OK하면 안된다. )
'Java, Spring > Spring Boot를 이용한 RESTful Web Services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-1 ~ 5-6. 스프링부트가 제공하는 API관련 유틸리티 ( HATEOAS, Swagger, Actuator) (0) | 2022.08.24 |
---|---|
4-8 URI를 이용한 REST API Version 관리~ 4-9 Request Parameter와 Header, MIME type을 이용한 API Version 관리 (0) | 2022.08.23 |
4-5 ~ 4-7. @JsonIgnore, @JsonFilter (0) | 2022.08.23 |
4-1 ~ 4-4 validation, 다국어처리, xml반환 (0) | 2022.08.22 |
3.5 ~ 3.7 (0) | 2022.08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