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HTTP의 기반 : 소켓 ( 소켓이 시스템 콜하여 HTTP 불러서 사용 )
1. 갑(서버)는 가만히 있는다. 을(클라이언트)가 요청을 하면 갑이 응답해준다.
2. 갑은 을의 IP주소를 모른다.
3. 을이 요청안하면 갑은 을에게 응답 불가하다. -> 을의 주소를 알기 위해선 소켓통신(stateful 연결지속통신-> 갑 원하는 시점에 을에게 응답 가능 )
# 톰켓에 대하여
1) 톰켓이 없을 때
1. 웹브라우저가 .jsp 파일을 웹서버에 요청
2. 아파치는 .jsp의 자바코드 해석 불가 -> 응답 불가
2) 톰켓이 있을 때
1. 웹브라우저가 .jsp 파일을 웹서버에 요청
2. 아파치는 .jsp의 자바코드 해석 불가 -> 톰켓에게 넘김
3. 톰켓은 .jsp 파일의 자바코드를 컴파일 후 .html 파일로 변환하여 아파치에게 넘김
4. 아파치는 .html 파일을 웹브라우저에 응답
3) 전체적 특징
1. 웹브라우저는 html, javascript, css 와 정적데이터(동영상, 이미지) 만 이해할 수 있다.
2. 그러므로 .jsp 파일을 요청 했을 때 .jsp 파일이 응답으로 돌아온다면 웹브라우저가 이해 못해서 내용 깨짐
3. 톰켓으로 .html으로 변환
4. 웹브라우저는 그저 html, javascript, css 를 읽어주는 프로그램일뿐 -> 이해못하는 확장자 들어오면 제기능X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매우 중요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본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.
꾸준히 다시보자.
1. 220729
2. 220812
3. 220830
4. 220927
'Java, Spring > SpringBoot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강 - web.xml은 무엇인가요? (0) | 2022.06.29 |
---|---|
10강 - 서블릿 객체(톰켓)의 생명주기를 알려주세요! (0) | 2022.06.28 |
8강 - HTTP가 무엇인지 궁금해요! (0) | 2022.06.28 |
7강 - OOP 관점에서 모델링이란? (0) | 2022.06.28 |
6강 - 영속성 컨텍스트란 무엇인가요? (0) | 2022.06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