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ember 클래스를
엔티티화 한다. ( @Entity )

@Id : 해당 필드를 PK로 만든다.
@GeneratedValue(strategy = GenerationType.IDENTITY) : DB가 ID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것 = IDENTITY
@Column(name="username") : 테이블의 칼럼의 이름이 username 이라면 : 필드명="칼럼이름"
클래스에서는 '필드', 테이블에서는 '칼럼' 이라 한다.
하면 DB의 칼럼이름인 username과 매핑이 됨.

JPA는 EntityManager로 모든것이 동작한다. ( build.gradle에서 스프링부트 데이터 jpa를 implementation을 해주면
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data-jpa'
스프링부트가 자동으로 EntityManager를 만들어준다.(현재 DB와 연결까지 다 해서 ) 우리는 만들어준 것 injection만 받으면 된다. ( EntityManager는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다 들고 있다. )
JPA가 insert query 다 만들어서 DB에 넣고 멤버에다가 setId 까지 해줌
- em.persist : 삽입
- em.find : 조회 ( param : 조회할 타입, 식별자 )
- ofNullable : 값이 없을 수도 있음
#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변경 할 때는 항상 트랜젝션이 있어야함.
출처 : 인프런 김영한님의 강의를 수강 후 정리한 내용입니다.
꾸준히 다시보자.
1. 220712
2. 220731
'Java, Spring > 스프링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통합테스트 (0) | 2022.07.10 |
---|---|
회원 웹 기능 - 홈 화면 추가, 등록 (0) | 2022.07.10 |
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, 자바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 (0) | 2022.07.10 |
회원 서비스 테스트 (0) | 2022.07.10 |
회원 서비스개발 (0) | 2022.07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