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모든 자바 코드는 클래스 내부에 존재해야한다.
2. 자바는 static 인 것들을 실행 전에 메모리 static 공간에 로드한다.
3. 자바를 실행하면 main이라는 친구의 내부(= 중괄호) 를 실행한다.
4. 내부가 끝나면 종료된다.

1. .java 파일을 저장과 함께 컴파일한다.
2. .class 파일로 바뀐다. ( JVM이 이해 할 수 있는 코드 )
3. JVM이 .class 파일을 가져와서 실행시킨다.
4. 가져와서 가장 먼저 하는 것: 파일 내부를 복고 static이 있는지 체크
-> 있으면 static 메모리에 할당( 안의 값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주소이름인 main만 로드, 로드 후 실행
5. 내부(=중괄호)를 실행할 때 main의 stack이 열림
6. 10을 모니터에 출력
7. 내부가 끝나면 자바 프로그램 종료
# 특징
1. main stack은 11번 라인에서 메모리에서 사라짐
2. heap도 11번 라인에서 사라짐

n2는 실행도 안됨.
-> 실행하는 법
1. static을 붙힌다.
2. main메서드에 넣는다.
sout(n1) : main이라는 stack 공간의 n1
sout(n2) : VarEx02라는 static 공간의 n2
'Basic Grammar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4강 - 자바 메모리구조 이해하기 (0) | 2022.07.20 |
---|---|
자바 - 12강 일반변수와 레퍼런스변수 (0) | 2022.07.20 |
자바의 레퍼런스 타입 (0) | 2022.07.17 |
함수형 인터페이스 (0) | 2022.07.16 |
람다식 (0) | 2022.07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