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스프링은 JSON을 만들때 Jackson이라는 라이브러리를 기본으로 사용합니다. 이 라이브러리는 자바의 getXxx() 메서드를 호출해서 get을 때고 소문자로 만든 후, 필드값으로 사용합니다. 따라서 getTotalPrice() -> totalPrice로 사용하는 것이지요. 이런 방식을 자바 빈 프로퍼티 접근방식으라 합니다^^
https://www.inflearn.com/questions/17050
/api/v1/orders 조회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. - 인프런 | 질문 & 답변
order 엔티티를 조회했을때 프록시 초기화를 통해서 컬렉션 과 나머지 엔티티들을 조회하는것을 알겠는데 postman에서 조회화면결과에서 TotalPrice 컬럼은 어떻게 나오는건가요? 아무리봐도 Order
www.inflearn.com
2. DTO에 @Getter가 필요한 이유
https://www.inflearn.com/questions/647479
DTO에 @Getter가 필요한 이유 - 인프런 | 질문 & 답변
OrderDto, OrderItemDto 같은 DTO에 @Getter 가 필요한 이유가 궁금합니다.또, 요청을 받는 DTO는 요청 받을 필드만 선언하면 되고, 응답용 DTO는 응답하고 싶은 필드만 정의 하여 생성자를 만들면 되는지 궁
www.inflearn.com
스프링 부트는 Jackso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 이를 통해 json 데이터들을 직렬화 / 역직렬화 하고 있습니다.
여기서 getter는 직렬화할 때 getter를 사용합니다. 즉 DTO들을 JSON 데이터로 다시 가공할 때 getter를 사용한다고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:)
'Java, Spring > 스프링부트와 JPA 활용 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-5. 주문 조회 V4: JPA에서 DTO 직접 조회 (1) | 2022.09.11 |
---|---|
4-4. 주문 조회 V3.1: 엔티티를 DTO로 변환 - 페이징과 한계 돌파 (아주아주아주아주아주 중요) (2) | 2022.09.10 |
4-3. 주문 조회 V3: 엔티티를 DTO로 변환 - 페치 조인 최적화 (1) | 2022.09.09 |
4-2. 주문조회V2:엔티티를 DTO로 변환 (0) | 2022.09.09 |
4. 컬렉션 조회 최적화 4-1 엔티티 직접 노출 (0) | 2022.09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