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당 로우의 락을 획득하고 있어야 해당 로우 쓰기 가능.
흐름을 따라가보자. 락을 획득한 상태에서만 해당 로우의 쓰기가 가능하다.
------------------
3-8. DB 락 - 변경
set autocommit false; = 트랜잭션 시작
이것만 기억하자!
-> 수동커밋 설정 후 값 바꾸면 바꾼 쪽 세션에서만 바뀐 값으로 조회된다.
-> 커밋 시 DB에 반영되어 다른 세션에서도 바뀐 값 조회.
DB락 있는 쪽에서만 해당 로우 쓰기가 가능하다!
# 본 게시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강의를 수강 후 반복학습을 위해 정리한 내용입니다.
꾸준히 다시보자.
1. 221014
2. 221101
'Java, Spring > Spring DB 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-10. 트랜잭션 - 적용1 (1) | 2022.09.25 |
---|---|
3-8. DB 락 - 조회 (1) | 2022.09.23 |
3-3. 트랜잭션 - DB 예제1 - 개념 이해, 3-4. 트랜잭션 - DB 예제2 - 자동 커밋, 수동 커밋 (2) | 2022.09.23 |
3-1. 트랜잭션 - 개념 이해, 3-2. 데이터베이스 연결 구조와 DB 세션 (1) | 2022.09.23 |
2-5. DataSource 적용 (0) | 2022.09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