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B 조회 시에도 락을 걸 수 있다.
내가 데이터를 조회 하는 중에 데이터를 변경하지마
-> 조회 시에도 락을 걸자
-> select for update 구문
근데 왜 조회 시에도 락을 굳이 가져갈까?
1. 트랜잭션 종료 시점까지 해당 데이터를 다른 곳에서 변경하지 못하도록 강제로 막아야 할 때 사용
예를 들어 memberA 의 금액을 조회한 다음에 이 금액정보로 애플리케이션에서 계산을 수행한다. -> 중요한 돈 계산이기 때문에 완료할 때까지 다른 곳에서 memberA의 금액을 변경하면 안된다.
Ex) 하루 마감처리할 때
# 본 게시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강의를 수강 후 반복학습을 위해 정리한 내용입니다.
꾸준히 다시보자.
1. 221014
2. 221101
'Java, Spring > Spring DB 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-11. 트랜잭션 - 적용2 (0) | 2022.09.25 |
---|---|
3-10. 트랜잭션 - 적용1 (1) | 2022.09.25 |
3-7. DB 락 - 개념 이해, 3-8. DB 락 - 변경 (1) | 2022.09.23 |
3-3. 트랜잭션 - DB 예제1 - 개념 이해, 3-4. 트랜잭션 - DB 예제2 - 자동 커밋, 수동 커밋 (2) | 2022.09.23 |
3-1. 트랜잭션 - 개념 이해, 3-2. 데이터베이스 연결 구조와 DB 세션 (1) | 2022.09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