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Java, Spring/SpringBoot 개념정리

2강 - 필터란 무엇인가요?

- 스프링은 많은 필터를 가지고 있다.

 

 

1. A 나라사람 만 들여보낸다.

2. 권한을 가진 사람만 왕의 집에 들어갈 수 있다. -> 왕의 집 입구에 필터를 건다.

3. 필터 (문지기) 에게 임무를 준다. -> 사람 거르라고

4. 스프링 자체 필터 사용해도되고 사용되지 않고있는 필터를 사용하겠다고 설정 가능, 직접필터생성사용 가능

5.  스프링컨테이너 안에 톰켓이 있는 건 아님

6. 톰켓의 필터는 '필터'로 불린다. -> web.xml

7. 스프링컨테이너가 들고있는 필터는 '인터셉터(AOP)'라고 불린다.

 

 

 

 

 

- 스프링은 많은 어노테이션을 가진다. ( 컴파일러가 뭔가를 체킹할 수 있게 힌트를 주는 주석 )

   스프링에서는 어노테이션으로 객체를 생성한다. (IoC)

 

 

component 오타

1. IoC

 

컴파일럭가 클래스 A를 스캔 할 때 @Component 어노테이션을 보고 heap 메모리에 등록

 

 

2. DI

 

리플렉션( 클래스를 스캔 할때 어떤 애가있는지 분석하는 기법 ) ( 메서드, 필드, 어노테이션 ) ->런타임시 분석

있으면 무엇을 하라고 설정 가능!

 

 

DI : IoC가 읽어들인 객체를 타입을 통해서 찾아서 @Autowired의 변수에 넣어준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.

 

 

꾸준히 다시보자.

 

1. 220729

2. 220812

3. 220830

4. 220927

Recent Posts
Popular Posts
Recent 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