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로 말이 안통하니 둘 다 이해할 수 있는 중간언어를 쓰자
= 한국어 -> 중간언어 -> 외계인말
= java object -> JSON -> python object
# MessageConverter가 있으면 자동으로 한국어를 중간언어로 바꿔서 던져준다.
- 요청시 java 프로그램을 JSON으로 자동으로 바꿔주고 응답시 JSON을 java 프로그램으로 자동으로 바꿔준다.
- MessageConverter인 JACKSON은 JSON으로 바꿔줌
# BufferedReader, BufferedWriter
- 유니코드에서 UTF-8 지원 : 3Bytes 통신 ( 한글 한글자 = 3bytes )
- InputStream(1바이트씩) -> InputStreamReader(문자하나- char로) -> BufferedReader ( 가변길이의 문자 받을 수 있음 )
- java에서는 BufferedWriter가 내려쓰기 기능이 없어서 Printwriter를 쓴다. (printwriter에서는 print(), println()함수를 지원)
- BufferedReader, BufferedWriter는 통신할때 문자열(가변길이) 쓸 수 있게 해주는 클래스
- @ResponseBody 라는 어노테이션 쓰면 BufferedWriter가 동작함
- @RequestBody 라는 어노테이션 쓰면 BufferedReader가 동작함
본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.
꾸준히 다시보자.
1. 220729
2. 220812
3. 220830
4. 220927
'Java, Spring > SpringBoot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강 - OOP 관점에서 모델링이란? (0) | 2022.06.28 |
---|---|
6강 - 영속성 컨텍스트란 무엇인가요? (0) | 2022.06.28 |
5강 - ORM이란 무엇인가요? (0) | 2022.06.28 |
4강 - JPA란 무엇인가요? (0) | 2022.06.28 |
2강 - 필터란 무엇인가요? (0) | 2022.06.28 |